교육기관 | 부산인력개발원 | 면접일 | |
---|---|---|---|
교육기간 | 2020.07.01~2020.12.30 6개월(900시간) | 합격자 발표일 | |
접수기간 | 현재는 모집기간이 아닙니다. | 입학일 | 2020.07.01 |
교육장소 | 본원 | 교육과정 문의처 | 능력개발처 051)610-3120~3 |
모집인원 | 25명 |
★2018년도 수료과정 취업률 87%★
★2019년도 수료과정 취업률 92%★
4차산업혁명선도훈련과정
• 과정소개
4차 산업혁명시대, 제조업의 핵심이 되는 데이터 기반 지능형 자동화 기술을 기업의 제조 공정 및 설비 구축을 위하여 가상물리시스템(CPS: Cyber Phisical System)을 근간으로
산업용로봇/기계설비/센서 등의 스마트장비와 SCADA, MES, PLC, HMI, IoT 등을 단일 플랫폼으로 구성하여 지능화된 제조 공정의 개발 및 운용할 수 있다.
• 과정의 강점(특징)
○ 고용노동부 인증 최우수기관(전국 상위 1% 이내)에서 운영하는 과정
○ 편리한 교육훈련시설 완비
- 기숙사, 독서실, 식당, 인조잔디운동장, 체력단련실, 상담실, 시청각실, 강당(실내체육관), 휴게실 등 훈련생들의 편의 시설
- 교육훈련에 필요한 스마트팩토리실습실, 로봇제어실, 프로그램실, 자동제어운영실, 전기공사실, 자동제어기기실, 자동제어실, 태양광발전실, MPS실, 공유압실, PLC제어실 등 각 교과목별 맞춤형 전문교육훈련실습실 완비
○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이 용이
- 실습이 교육훈련내용의 80% 이상이므로 자격증 실기시험준비 최적화
- 평소 사용하는 실습실이 국가기술자격검정 인증시험장이므로 시험 준비 시 매우 유리
※주종목 : 생산자동화기능사, 전기기능사, 공유압기능사, 공조냉동기능사,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, 생산자동화산업기사, 전기산업기사
○ 우수한 교수진 지도
- 산업현장 실무경험 및 교육훈련 경력이 15년 이상인 우수한 교수진이 교육훈련을 지도함으로 현장실무수행에 필요한 전문기술 습득 가능
○ 풍부한 취업 인프라망 보유
- 전국 상공회의소 회원사 및 기업대표 협의회 단체 등을 통한 취업 알선
- 지자체 단체와 연계한 각종 취업박람회를 통한 취업알선
- 개발원 자체 보유 취업가능업체(협약체결 기업체, 25년간 수료생 취업 기업체)를 통한 취업 알선
• 교육내용
SCADA를 활용한 MES구축실습 | SCADA를 활용하여 감시제어시스템 및 MES를 구축하고, 최적의 설비를 설계할 수 있도록 기획할 수 있는 기술을 교육 |
스마트설비 CPS운용실습 |
CPS를 활용하여 최적의 스마트설비메커니즘을 설계하고, 기계설비의 자동화된 제어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는 기술을 교육 |
기계시스템제어실습 |
PLC특수 모듈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으며, 최적의 제어 방식을 결정할 수 있는 기술을 교육 |
PC기반제어실습 | 스마트팩토리에 사용되는 센서를 PC기반 제어 회로에 연결하여 프로그래밍 할 수 있는 기술을 교육 |
IoT제어실습 | Mobile, 인터넷을 이용하여 IoT를 구성하고 스마트팩토리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교육 |
액추에이터제어실습 |
스마트팩토리설비 구성요소인 공유압기기를 사용하여 회로를 구성하고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교육 |
Mobile기반 HMI운영실습 | Mobile기반 HMI를 활용하여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으며, 자동제어시스템을 최적의 상태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교육 |
스마트제어감시 설비공사실습 |
스마트팩토리 설비가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용되도록 각종 제어장치와 감시용 시설을 설치·보수할 수 있는 기술을 교육 |
로봇제어 프로젝트실습 |
프로그램을 작성하여 로봇시스템을 구축, 운용 할 수 있는 기술을 교육 |
스마트팩토리 프로젝트실습 | 스마트팩토리 기술을 생산시스템에 적용하여 구축할 수 있는 기술을 교육 |
• 자격증분야
기능사 |
- 전기기능사 - 생산자동화기능사 - 공유압기능사 - 승강기기능사 |
산업기사 |
- 전기산업기사 - 전기공사산업기사 - 생산자동화산업기사 - 전기기능장 - 전기기사 |
• 취업분야
- 취업분야 : 자동화/반도체/조선/철강 산업부문 자동제어 분야, 인텔리젠트빌딩제어 등의 자동제어분야, 전기 및 자동화설비 유지보수 공무분야, 전력설비 설계 및 제작분야,
발/송배전 분야, 수배전설비 관련 분야 등
- 주요 취업처 : 현대파워텍, 로보스타, 롯데글로벌로지스, 부산신항만주식회사, 등